맨위로가기

네덜란드령 포르모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령 포르모사는 17세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타이완에 건설한 식민지이다.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타이완이 국제 정세에 편입되면서 네덜란드는 중국과의 무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펑후 제도를 거쳐 1624년 타이완에 진출하여 안평고보를 건설했다. 네덜란드는 원주민을 억압하고 기독교를 강요했으며, 중국인 이민을 장려하여 경제 발전을 도모했다. 그러나 1662년 정성공의 공격으로 38년 만에 타이완 지배가 끝나고, 정씨 왕조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통치는 타이완의 상업 발달과 한족 이주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유적을 통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2. 역사적 배경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대항해 시대가 열리면서 인도 항로 개척이 진행되어 유럽과 아시아의 거리는 대폭 단축되었다. 타이완 역시 이러한 국제 정세에 편입되어 세계사에 등장하게 되었다. 17세기 초, 네덜란드 공화국은 해상 원정을 확장하면서 스페인, 포르투갈과 충돌하게 되었다. 종교적, 상업적 갈등 외에도 네덜란드는 80년 전쟁을 통해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 했다.[1]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VOC)의 동인도 회사 선박 복제품.


1726년경 네덜란드의 펑후 제도 지도

2. 1. 포르투갈의 타이완 "발견"

16세기 중반, 포르투갈 배가 타이완 근해를 지나가다 우연히 수평선에서 녹색으로 덮인 섬을 "발견"했다. 선원은 그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Ilha Formosa''"(Ilha Formosa|일랴 포르모자pt, "아름다운 섬"이라는 의미)라고 외쳤다. 이로 인해 타이완에 "'''포르모사'''"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유럽에 타이완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3]

타이완 "발견" 연대에 대해서는 1517년[3], 1541년 전후[3], 1542년[3], 1544년[3], 1557년[3] 등 여러 설이 있었다. 그러나 타이완의 역사학자 曹永和|차오융허중국어에 의해 1554년에 Lopo Homem|로포 호먼영어이 제작한 지도에 류큐 열도 남쪽에 "I. Fremosa"가 상세히 묘사된 것이 발견되어 1554년 이전으로 추정된다.[3]

포르투갈인은 타이완에 처음 도달했지만, 타이완 원주민과 아편을 매개로 한 소규모 무역에 머물렀으며, 식민지 경영은 고려하지 않았다.[3]

2. 2. 네덜란드와 명나라의 갈등

17세기 초, 네덜란드 공화국잉글랜드 왕국은 유럽 밖의 해상 원정 지역을 더욱 확장하면서, 합스부르크 스페인과 포르투갈 왕국의 세력과 세계 각지에서 충돌하게 되었다. 상업적 갈등 외에도, 네덜란드(및 잉글랜드)는 16세기에 로마 가톨릭 교회와 결별했는데, 이는 가톨릭을 굳게 믿는 이베리아 반도의 강대국들과는 달랐다. 네덜란드는 또한 156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스페인과 싸워 유럽 내에서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네덜란드는 1601년에 처음으로 중국과의 무역을 시도했지만[1], 중국 당국에 의해 거부당했는데, 중국 당국은 이미 1535년부터 마카오에서 포르투갈과 무역을 하고 있었다.

1604년 바타비아 (아시아 네덜란드의 중심 기지)에서 출발한 원정에서, 위브란트 판 바르윅 제독은 마카오를 공격하려 했지만, 그의 함대는 태풍으로 인해 휩쓸려 펑후 제도(펑후)로 향하게 되었다. 펑후 제도는 타이완에서 서쪽으로 약 48.28km 떨어진 섬 무리이다. 그곳에서 제독은 중국 본토와의 무역 조건을 협상하려 했지만, 회담 특혜를 위해 과도한 수수료를 지불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압도적으로 우세한 중국 함대에 포위된 그는 어떤 목표도 달성하지 못한 채 떠났다.[1]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군사력을 사용하여 중국이 푸젠성에 무역 항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네덜란드가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에서 싸우고 있는 포르투갈을 마카오에서 몰아낼 것을 요구했다. 네덜란드는 1618년 이후 중국 선박을 습격하고, 중국이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정크선을 인질로 잡았지만 실패했다.

1622년, 또 다른 실패한 마카오에 대한 네덜란드의 공격 (1557년부터 포르투갈의 무역 거점)과 파 통 오(현재의 홍콩)에 무역 거점을 세우는 데 실패한 후, 함대는 이번에는 의도적으로 펑후 제도로 항해하여, 마닐라와의 무역을 방해하기 위해 마궁에 기지를 세웠다. 그들은 현지 중국인들을 강제 노동으로 동원하여 펑구이웨이 요새를 건설했다. 그들의 감독은 심각했고 식량 배급도 부족하여, 강제 동원된 중국인 1,500명 중 1,300명이 건설 과정에서 사망했다고 한다.

네덜란드는 중국 항구와 선박에 대한 습격을 위협하며, 중국이 펑후 제도 또는 타이완에서의 무역을 허용하지 않으면 공격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들은 상인들에게 바타비아, 아마 시암과 캄보디아로 가는 네덜란드 통행증을 발급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네덜란드에 의해 압수될 마닐라로는 갈 수 없다고 했다. 그들은 명나라에 네덜란드 무역을 위해 푸젠성(복건)에 항구를 개방할 것을 요구했지만, 중국은 거절했다. 푸젠성 지사 샹 저우주오는 네덜란드가 펑후 제도를 떠나 타이완으로 이동하면, 중국이 그들에게 무역을 허가하겠다고 제안했다. 이로 인해 1622년부터 1624년까지 네덜란드와 중국 사이에 일련의 충돌이 발생했다. 1622년 9월 19일 샹의 제안 이후, 네덜란드는 10월과 11월에 샤먼을 습격했다. 네덜란드는 펑후 제도에서 푸젠을 습격하고 중국 선박을 공격함으로써 "무력 또는 공포로 중국이 무역을 하도록 유도"하려 했다. 1622년 3월 리궁화 대령은 네덜란드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샤먼에 장거리 포병 부대를 설치했다. 비록 현장의 네덜란드 장교들은 명나라가 그들과의 무역을 강요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지만, 바타비아의 지휘부는 그들이 무역을 하려던 중국인들에 대해 반복적인 폭력을 명령하면서, 느리게 대응했다.

1623년, 네덜란드가 중국에 항구 개방을 강요하려 하자, 다섯 척의 네덜란드 선박이 류아오로 보내졌고, 이 작전은 실패로 끝났으며, 여러 명의 네덜란드 선원이 포로로 잡히고, 그들의 선박 중 한 척이 손실되었다. 네덜란드가 포획한 중국인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하고, 이미 6척이 있던 펑후 제도 주둔지에 5척의 선박을 추가하면서, 푸젠성의 새로운 지사인 난 주이는 1623년 7월, 중국으로부터 펑후 제도에서 네덜란드 군대를 공격할 준비를 시작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1623년 10월 샤먼에서 네덜란드 습격이 중국에 의해 격퇴되었고, 중국은 네덜란드 사령관 크리스티안 프랑스를 포로로 잡고 네 척의 네덜란드 선박 중 한 척을 불태웠다. 위쯔가오는 1624년 2월에 네덜란드를 몰아내기 위해 펑후 제도에서 군함과 병력을 동원하여 공세를 시작했다. 중국의 공세는 1624년 7월 30일에 네덜란드 요새에 도달했고, 위와 왕멍슝 장군의 지휘하에 5,000명(또는 10,000명)의 중국군과 40~50척의 군함이 마르티누스 손크가 지휘하는 요새를 포위했고, 네덜란드는 8월 3일 평화를 구걸하여 중국의 요구에 굴복하여 펑후 제도에서 타이완으로 철수했다. 네덜란드는 중국과의 무역을 강요하기 위한 군사적 시도가 펑후 제도에서의 패배로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네덜란드가 중국인들에게 "붉은 머리 야만인"이라고 불렸을 때, 중국의 승리 축하 행사에서 난 주이는 베이징의 황제 앞에서 포획된 열두 명의 네덜란드 병사들을 행진시켰다.[2] 네덜란드는 동남아시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인을 소심하고 "겁 많은 무리"로 여겼기 때문에, 그들의 폭력이 중국을 위협하지 못한 것과, 펑후 제도에 있는 요새에 대한 중국의 후속 공격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3. 네덜란드의 타이완 통치

162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던 펑후 제도를 점령하여 동아시아 무역 거점을 구축했다. 1624년 명군과의 전투 끝에 화의가 성립되어, 네덜란드인은 타이완으로 이주하여 열란자성(제란디아 요새)을 건설하고 통치를 시작했다.[4]

1626년 스페인이 타이완 북부 지룽을 점령하고 거점을 마련했으나, 1642년 네덜란드가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고 타이완 전체를 장악했다.

일본은 네덜란드가 도착하기 전부터 타이완에서 중국 물품을 거래했다. 네덜란드는 일본과의 무역을 제한하려 했으나, 이는 1628년 하마다 야헤이 사건을 야기했다.[5] 이후 일본과의 관계는 회복되었지만, 일본 무역의 손실은 타이완 식민지를 덜 수익성 있게 만들었다.

1652년 곽회일을 중심으로 한 한족 이민자들의 대규모 반란이 발생했으나, 네덜란드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1만 명 이상의 한족계 주민이 살해되었다.

네덜란드의 통치는 열란자성을 중심으로 한 최초의 계통적인 정권 탄생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네덜란드는 푸젠성, 광둥성 연안에서 한족 이주민을 모집하여 토지 개발을 추진하고 플랜테이션 경영을 시도했다. 또한, 원주민에게 로마자로 된 언어 교육을 실시하여 신강 문서 등의 성과를 남겼으며, 중상주의를 통해 타이완에 본격적인 상업을 발생시켰다.

3. 1. 타이완 원주민과의 관계

올페르트 다퍼 (1670)의 《기억할 만한 사업》에 실린 타이완 원주민


네덜란드인들이 도착하기 전, 타이완 원주민들은 수많은 부족 체계에서 생활했다. 1650년 네덜란드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평야 지역에는 1,000명에서 100명 사이의 인구가 거주했으며, 5만 명 미만의 원주민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부족들은 뚜렷한 언어적 차이와 내부 구조의 차이를 보였으며, 광범위한 참수 관행으로 인해 낯선 사람들을 의심하고 조심했다.[22]

네덜란드인들이 처음 접촉한 원주민 집단은 신강(新港), 백료만(目加溜灣), 소랑(蕭), 마두(麻豆)였다. 타이완 원주민 부족들의 적대적인 성향은 네덜란드인들과 초기에 적대적인 관계를 초래했으며, 1628년 신강인들이 연루된 하마다 야헤이 사건과 1629년 마두 부족에 의해 20명의 네덜란드 군인이 살해당하는 사건 등이 있었다.[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분할 통치 전략으로 마두에 대항하여 신강 및 소랑 부족과 동맹을 맺고, 동시에 따르지 않는 부족들을 정복했다.

1626년, 네덜란드는 타이완 북부(현재의 기륭, 단수이)를 점령한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고 섬 전체를 장악했다.

3. 1. 1. 원주민 반란과 탄압

1635년부터 1636년까지 이어진 평정 작전으로, 네덜란드에 충성을 맹세하는 원주민 마을이 늘어났다. 이러한 현상은 네덜란드 군사력에 대한 두려움뿐만 아니라, 네덜란드가 제공하는 식량과 안전 보장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기도 했다. 네덜란드에 충성하는 마을은 남쪽 롱키아우에서 타이완 중부 파보랑까지, 제란디아 요새에서 북쪽으로 90km까지 뻗어 있었다. 이 시기의 상대적 평온함을 일부 학자들은 '팍스 홀란디카' (네덜란드 평화)라고 부르기도 한다.[22]

네덜란드는 섬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중앙 산맥의 접근성 때문에 실질적인 통치 범위는 서해안 평야와 동해안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다. 네덜란드는 1624년부터 1642년까지 이 지역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대부분의 마을은 네덜란드에 충성을 맹세해야 했고, 이후에는 대체로 자치적인 통치를 허용받았다.[22]

네덜란드 통치에 대한 복종의 표시는 마을의 흙에 심은 작은 토착 식물(주로 빈랑나무 열매 또는 코코넛)을 총독에게 바치는 것이었다. 이는 해당 토지를 네덜란드에 양도한다는 의미였다. 그 후 총독은 마을 지도자에게 직위의 상징으로 옷과 지팡이를 하사하고, 마을에 게양할 ''프린센플라흐''(윌리엄 1세의 깃발)를 수여했다.

피점령 마을에서 게양된 프린센플라흐


하지만, 네덜란드는 원주민들에게 강제 노동, 과도한 세금, 종교 강요 등을 통해 억압적인 통치를 했다. 1644년 만주 군대가 베이징에 입성하면서 중국에서 거의 40년에 걸친 내전이 발발했다. 이로 인해 중국, 포르모사와 일본 사이의 수익성 있는 비단 무역이 크게 혼란을 겪게 되면서 네덜란드는 손실된 이익을 만회하기 위해 새로운 세금을 부과했다. 특히 정착민들에게 부과되는 거주세인 ''호프트겔트''(hoofdgeld)는 노동자 월급의 10%에 해당하는 1/4 리얼이었다. 이는 전통적인 중국의 12% 세율보다 낮았지만, 변방의 다른 조건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컸을 수 있다. 거주세에는 또한 중국인이 소지하고 질문하는 모든 네덜란드인에게 보여줘야 하는 ''호프브리프''(hoofdbrief)라는 거주 허가증이 함께 제공되었다. 이 제도는 회사 군인들이 돈을 갈취할 구실로 서류를 요구하면서 널리 악용되었다. 바타비아의 총독은 이 문제에 대해 대만에 친서를 보내 "더 나은 대안이 없어서 우리에게 온 [중국]을 그렇게 나쁘게 대하는 것은 좋은 정책이 아닙니다."라고 말했다. ''호프브리프'' 악용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긴장은 계속 고조되었다.[22]

이에 반발하여 원주민들은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지만, 네덜란드는 이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1650년에 실시된 섬의 첫 번째 인구 조사에서 원주민의 수는 64,000명에서 68,000명 사이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섬의 인종적 다수를 차지했다.[22] 1642년, 네덜란드는 라메이 섬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을 학살하는 사건을 일으켰다.[2]

3. 2. 일본과의 무역

네덜란드는 타이완에서 중국 물품을 거래하던 일본과의 무역을 제한하려 했다. 1625년, 바타비아는 타이완 총독에게 일본과의 교역을 금지하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1628년에는 하마다 야헤이 사건이 발생했다.[5] 이후 일본과의 관계는 회복되었지만, 일본 무역의 손실은 타이완 식민지를 덜 수익성 있게 만들었다.

3. 3. 중국인 이민 장려와 곽회일의 난

1644년 만주 군대가 베이징에 입성하면서 중국에서 거의 40년에 걸친 내전이 발발했다. 이로 인해 중국, 포르모사와 일본 사이의 비단 무역이 혼란을 겪자, 네덜란드는 손실된 이익을 만회하기 위해 새로운 세금을 부과했다. 거주세인 ''호프트겔트''(hoofdgeld)는 노동자 월급의 10% 수준으로, 중국의 전통적인 세율보다 낮았지만, 변방의 조건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컸다. 거주 허가증인 ''호프브리프''(hoofdbrief) 제도는 회사 군인들이 돈을 갈취하는 구실로 악용되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푸젠 남부에서 대규모 한족 이민을 장려했다. 이들은 대부분 젊은 독신 남성이었고, 섬에 머무는 것을 꺼렸다. 1652년 곽회일의 난은 징벌적 세금과 부패한 관리들에 대한 분노로 촉발된 네덜란드에 대한 조직적인 반란이었다. 네덜란드는 반란을 강력하게 진압하여, 반란에 참여한 사람들의 25%가 사망했다.

1652년 9월 7일, 중국인 농부 곽회일이 농민 군대를 모아 사캄을 공격했다. 네덜란드 군인 120명은 4,000명이나 되는 농민 군대를 흩어지게 했다. 원주민 전사와 네덜란드 전사는 약 500명의 중국인을 죽였고, 9월 11일에는 2,000명의 중국인 사상자가 발생했다. 총 4,000명 정도의 중국인이 사망했고 곽회일의 머리는 말뚝에 걸렸다.

반란은 쉽게 진압되었지만, 농촌 노동력이 파괴되었다. 1653년 수확량은 평균 이하였다. 그러나 수천 명의 중국인이 본토의 전쟁으로 인해 대만으로 이주했고, 다음 해에 농업이 다소 회복되었다. 중국인을 억압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고, 원주민들에게 중국인을 감시하도록 했다. 네덜란드인들은 중국인 침략에 맞서 원주민 토지를 보호하는 자들로 묘사되었다.

3. 4. 종교와 교육

VOC는 원주민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로마자로 된 언어 교육을 실시했다.[2] 선교사들은 학교를 세워 식민 통치에 필요한 종교 교육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등도 가르쳤다.[2] 네덜란드인 도착 이전 원주민들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고, 선교사들은 라틴 문자를 바탕으로 여러 포르모사어 표기 체계를 만들었다. 이는 대만 역사상 최초의 기록 문자였다.[2]

원주민들의 종교는 주로 정령 숭배였는데, 네덜란드인들은 이를 죄악시하고 문명화되지 않은 것으로 여겼다. 네덜란드인들은 37세 미만 여성의 강제 낙태(마사지), 잦은 부부 간의 불륜, 기독교 안식일 불이행, 전반적인 나체 등을 죄악시하거나 비문명적인 행동으로 간주했다. 기독교 성경은 원주민 언어로 번역되어 부족들 사이에 전파되었다. 이는 대만에 기독교가 처음 전래된 사건이었다.

원주민 아이들에게 네덜란드어 교육을 시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빠르게 중단되었다. 최소 한 명의 포르모사인은 네덜란드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네덜란드 여성과 결혼하여 네덜란드 사회에 통합된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 통치 기간 동안 원주민 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로마자 교육이 시행되었고, 이는 신강 문서 등의 성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영향은 네덜란드 통치 기간뿐만 아니라 19세기 타이완 사회까지 미쳤다.

3. 5. 경제

타이완의 "공장"(VOC 무역 거점)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전체에서 히라도/데지마 다음으로 두 번째로 수익성이 높은 곳이었다.[51] 식민지가 처음으로 수익을 내는 데 22년이 걸렸지만, 네덜란드인들은 중국, 일본과의 삼각 무역과 포르모사의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 현금 경제(스페인 레알, VOC에서 사용)가 도입되었고, 이 시기는 섬 역사상 경제 개발을 위한 최초의 진지한 시도가 있었다.[51]

대만 사슴


포트 젤란디아 건설의 원래 목적은 중국과 일본과의 무역 기지를 제공하고, 이 지역의 포르투갈과 스페인과의 무역을 방해하는 것이었다. 주요 상품은 중국산 비단과 일본산 은 등이었다.

네덜란드인들은 섬 서부 평원의 토종 사슴(''Cervus nippon taioanus'')의 가죽이 일본에서 사무라이 갑옷 제작에 사용될 정도로 귀중하다는 것을 알았다.[14] 사슴의 다른 부분은 고기와 의료용으로 중국 상인들에게 판매되었다. 네덜란드인들은 원주민들에게 사슴을 가져오도록 돈을 지불하고 사슴 개체 수를 관리하려 했으나, 사슴이 사라지면서 원주민들은 새로운 생존 수단을 찾아야 했다.[14] 1638년, 네덜란드는 대만에서 일본으로 151,400마리의 사슴 가죽을 수출했다.[16] 사슴 개체 수 감소로 수출량이 줄었지만, 여전히 50,000~80,000마리가 수출되었다.[16]

사탕수수는 대만의 토착 작물이었지만, 원주민들은 원당에서 설탕 과립을 만들 수 없었다.[17] 명나라청나라 중국 이민자들이 이 기술을 도입했고, 설탕은 포르모사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 상품이 되었다.[18] 대만산 설탕은 자바산보다 훨씬 높은 이윤을 남겼다.[17] 1645년에는 총 생산량의 3분의 1인 300,000캐티의 설탕이 페르시아로 운송되었다.[18] 1658년에는 1,730,000캐티의 설탕이 생산되었고, 800,000캐티(45%)가 페르시아, 600,000캐티(35%)가 일본, 나머지는 네덜란드 식민 제국으로 수출되었다.[18] 차 또한 주요 수출 품목이었다. 중국인들은 쌀을 재배할 수 없는 비옥하지 않은 언덕에서 차를 재배했다.[16]

대만의 또 다른 주요 수출 품목은 기륭과 단수이 근처에서 채취한 유황이었다.

대만, 특히 타오위안은 동아시아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한 환적 중심지가 되었다.[19] 일본, 푸젠,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의 상품이 대만으로 운송된 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다른 국가로 수출되었다.[19] 네덜란드인들은 동남아시아에서 바타비아를 거쳐 대만을 통해 중국으로 호박, 향신료, 후추, 납, 주석, 삼, 면화, 아편, 카포크를 수출했고, 중국에서 대만을 통해 일본과 유럽으로 비단, 도자기, 금, 약초를 운송했다.[20][18]

네덜란드인들은 수출을 위해 중국인들을 고용하여 사탕수수와 쌀을 경작하게 했으며, 이 쌀과 설탕의 일부는 페르시아 시장까지 수출되었다. 원주민 부족에게 사냥을 포기하고 정착 농업을 하도록 설득했지만 실패했는데, 농업은 여성의 일이었고, 노동 집약적인 고된 일이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인들은 중국에서 노동력을 수입했고, 이 시기는 대규모 중국인 이민이 섬으로 유입된 첫 번째 시기였다. 한 논평가는 네덜란드 통치 38년 동안 5만~6만 명의 중국인이 대만에 정착했다고 추산했다. 이들은 무료 수송과 도구, 소, 씨앗을 제공받았고, 그 대가로 네덜란드인들은 농산물의 10분의 1을 세금으로 가져갔다.

네덜란드령 포르모사의 독특한 교역 자원(특히 사슴 가죽, 사슴고기, 사탕수수)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에 매우 수익성 높은 시장을 제공했다. 피터 누이츠 네덜란드 총독은 "대만은 훌륭한 무역항이었으며, 모든 상품에 대해 100%의 수익을 낼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51]

네덜란드인들은 우물 파는 기술을 도입했으며,[52] 소와 가축을 섬으로 들여왔다.

4. 네덜란드 통치의 종식

1661년 정성공이 '항청복명(抗清復明)'을 기치로 타이완을 공격하여, 1662년 제란디아 성이 함락되면서 네덜란드는 38년 만에 축출되었고, 정씨 왕조가 시작되었다.[1] 정성공은 타이완에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고 개발을 촉진하여 대만인들에게 '개발 시조', '민족의 영웅'으로 평가받고 있다.[1]

4. 1. 정성공의 타이완 공격과 네덜란드의 패배

1661년부터 '항청복명(抗清復明)'의 기치를 내건 정성공타이완을 공격했다. 이듬해 1662년에는 정성공이 제란디아 성을 함락하면서, 네덜란드는 38년 만에 타이완에서 축출되었고, 정씨 왕조가 시작되었다. (제란디아 성 포위전)[1] 1662년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타이완에서 몰아낸 정성공은 타이완에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고 개발을 촉진하는 기초를 닦았기에, 대만인들에게 '개발 시조', '민족의 영웅'으로 평가받고 있다.[1]

4. 2. 네덜란드의 재점령 시도와 실패

대만에서 축출된 후, 네덜란드는 대만의 정씨 정권에 대항하여 중국의 새로운 청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몇 차례의 소규모 교전 끝에, 네덜란드는 1664년 북부의 요새 기륭을 탈환했다. 정징은 네덜란드를 몰아내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실패했다. 네덜란드는 1668년까지 기륭을 지켰지만, 원주민의 저항(정징이 사주했을 가능성이 높음)[8]과 섬의 다른 지역을 탈환하는 데 진전이 없자 식민 당국은 마지막 거점을 포기하고 대만에서 완전히 철수하기로 결정했다.[9]

기륭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수익성이 좋은 곳이었으며, 1664년에는 회사의 대만 사업에서 26%의 수익이 나왔다.[10]

1665년, 네덜란드는 주산 군도의 불교 사찰인 보타산을 공격한 후 유물을 약탈하고 승려들을 살해했다.[12]

1672년, 대만 북동쪽 해상에서 정징의 함선은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향하던 네덜란드의 플루트선 ''쿠일렌부르크''를 나포, 약탈하고 침몰시켰다. 정씨 정권의 군대는 34명의 네덜란드 선원을 처형하고 8명을 익사시켰다. 21명의 네덜란드 선원만이 일본으로 탈출했다.[13]

5. 네덜란드 통치의 유산과 의의

네덜란드의 통치는 타이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네덜란드는 타이완에 최초의 계통적인 정권을 수립하고, 경제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한족 이민을 장려하여 타이완의 인구 구성을 변화시켰다.

네덜란드는 열란자성을 중심으로 타이완 최초의 계통적인 정권을 세웠으며, 이는 이후 타이완 통치자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네덜란드는 푸젠성, 광둥성 연안에서 많은 한족 이주민을 노동력으로 모집하여 토지 개발과 플랜테이션 경영에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타이완 원주민이 네덜란드인을 "Tayouan"(현지어로 "내방자")이라고 부른 데서 "'''타이완'''(''Taiwan'')"이라는 명칭이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2]

네덜란드 통치 이전에도 한족 이민이 있었지만, 펑후 제도에 한정되었고, 명나라의 해금 정책과 타이완 부족 사회의 생산 능력 부족으로 대규모 이민은 어려웠다. 네덜란드 시대 초기에는 약 1,000~1,500명의 중국인이 원주민 마을에 거주하는 상인으로 있었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적극적인 이주 장려 정책으로 식민지 시대 말에는 수만 명의 중국인이 타이완에 거주하게 되었고, 섬의 민족 구성은 중국인이 원주민보다 우위를 점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경제적으로는 유럽의 중상주의 정책으로 자급자족적인 농업, 어업 중심이었던 타이완에 본격적인 상업이 발생했다. 네덜란드가 추진한 경제 정책과 항만 시스템은 타이완의 현대 국제 무역과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네덜란드는 원주민에게 로마자 언어 교육을 실시하여 신강 문서 등의 성과를 냈으며, 이는 19세기까지 타이완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네덜란드는 집오리를 타이완에 들여오기도 했다.[55]

하지만 네덜란드의 통치는 타이완 원주민들에게는 억압과 착취의 시기였다.

5. 1. 유산

안핑 요새의 성벽


오늘날의 안토니오 요새


오늘날 타이완에서 네덜란드 통치의 유산은 타이난시 안핑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곳에는 제란디아 요새(안핑고보)의 유적이 보존되어 있다.[53] 타이난시에는 프라빈티아 요새가 홍루(Red-Topped Tower)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단수이구에는 안토니오 요새(산토 도밍고 요새 박물관 단지)가 보존되어 있는데, 이 요새는 전 세계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가장 잘 보존된 요새(작은 요새) 중 하나이다.[54] 이 건물은 나중에 영국이 중화민국(중국 국민당) 정권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타이완과의 공식적인 관계를 끊을 때까지 영국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

참조

[1] 뉴스 Taiwan in Time: When the Dutch were twice kicked out of Penghu https://www.taipeiti[...] 2022-07-31
[2] 웹사이트 荷西時期總論 (Dutch and Spanish period of Taiwan) http://taiwanpedia.c[...] Council for Cultural Affairs
[3] 서적 An account of missionary success in the island of Formosa: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Dutch version by Caspar Sibelius, published in London in 1650 and now reprinted with copious appendices https://archive.org/[...] Trübner & Co
[4] 서적 Theories and Methods in Japanese Studies: Current State and Future Developments (Papers in Honor of Josef Kreiner) https://web.archive.[...] Bonn University Press via V&R Unipress
[5] Google Books Shepherd1993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Pioneers or cattle for the slaughterhouse? A rejoinder to A.R.T. Kemasang 1989-01-01
[7]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8] Google Books Shepherd 1993 https://books.google[...] 2023-04-10
[9] 간행물 Pioneers or cattle for the slaughterhouse? A rejoinder to A.R.T. Kemasang 1989-01-01
[10] 웹사이트 In the days of the Dutch https://taiwantoday.[...] Taiwan Today 1968-03
[11] 서적 Taiwan: A New History M.E. Sharpe
[12]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3]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4] 간행물 Wildlife conservation in Taiwan 1997-08
[15] 웹사이트 墾丁社頂生態遊 梅花鹿見客 | 台灣環境資訊協會-環境資訊中心 http://e-info.org.tw[...] E-info.org.tw 2010-06-30
[16] 서적 Taiwan under the Dutch The Central News Agency 2011
[17] 서적 The Deutch 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Hwang Chao-sung 2003
[18] 서적 Taiwan under the Dutch The Central News Agency 2011
[19] 서적 The Deutch 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Hwang Chao-sung 2003
[20] 서적 The era of global navigation SMC Publishing Inc. 2008
[21] 서적 The era of global navigation SMC Publishing Inc. 2008
[22] 간행물 Aboriginal Fractions: Enumerating Identity in Taiwan https://ir.lib.uwo.c[...] 2012
[23] 웹사이트 Book review: A Swiss soldier on Dutch Formosa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18-10-04
[24] Google Books ed. Goodrich 1976 https://books.google[...]
[25] Google Books ed. Twitchett & Mote 1998 https://books.google[...]
[26] Google Books Deng 1999 https://books.google[...]
[27]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1500-1900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1998
[28]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Volume 2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005
[29] 서적 Free China Review, Volume 11 https://books.google[...] W.Y. Tsao 1961
[30] 서적 Far Eastern Journey: Across India and Pakistan to Formosa https://books.google[...] H. Jenkins 1961
[31] 서적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Netherlands India: Its history, people, commerce, industries and resources https://books.google[...] Lloyd's Greater Britain Pub. Co. 1909
[32] 뉴스 Idol worship http://www.scmp.com/[...] 2012-02-26
[33]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4: 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34] 서적 Onze vaderen in China https://books.google[...] P.N. van Kampen 1917
[35] 서적 De Gids, Volume 81, Part 1 https://books.google[...] G. J. A. Beijerinck 1917
[36] 서적 De Hollanders op Formosa, 1624-1662: een bladzijde uit onze kolonialeen zendingsgeschiedenis https://books.google[...] W. Kirchner 1924
[37] 서적 Algemeene konst- en letterbode, Volume 2 https://books.google[...] A. Loosjes 1851
[38] 서적 The Spanish Experience in Taiwan 1626-1642: The Baroque Ending of a Renaissance Endeavour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9
[39]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Expansion and crisi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3
[40] 서적 Silk for Silver: Dutch-Vietnamese Rerlations ; 1637 - 1700 https://books.google[...] BRILL 2007
[41] 서적 Pirates, Ports, and Coasts in Asia: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
[42] 서적 Nguyễn Cochinchina: Southern Vietnam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1998
[43]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3: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44] 서적 Sugar and Society in China: Peasants, Technology, and the World Marke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998
[45] 서적 History Without Borders: The Making of an Asian World Region, 1000-1800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1
[46] 서적 Asia maritim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94
[47] 서적 Porcelain and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s Recorded in the Dagh-Registers of Batavia Castle, Those of Hirado and Deshima and Other Contemporary Papers ; 1602-1682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54
[48] 서적 Silk for Silver: Dutch-Vietnamese Rerlations ; 1637 - 1700 https://books.google[...] BRILL 2007
[49] 서적 War, Trade and Piracy in the China Seas (1622-1683) https://books.google[...] BRILL 2013
[50] 서적 The Concise History of Taiwan Taiwan Historica 2007
[51] 서적 De dagregisters van het kasteel Zeelandia, Taiwan 1629-1662 http://resources.huy[...] Inst. voor Nederlandse Geschiedenis 1986
[52] 문서 Murray Rubinstein, (1999) A New History of Taiwan, M.E. Sharpe Inc, New York 66.
[53] 웹사이트 Tale of Two Towns http://www.newsrevie[...] News Review 2008-07-09
[54] 웹사이트 Sightseeing Introduction to Hongmaocheng http://travel.networ[...]
[55] 웹사이트 A city guide to Taipei, Taiwan's culinary capital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21-01-29
[56] 웹사이트 人魚出沒台灣 不幸災厄跟著來 https://www.nownews.[...] 2018-07-04
[57] 웹사이트 第17回 明朝から清朝へ https://www.nhk.or.j[...] NHK高校講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